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200년을 사는 고래, 보우헤드고래의 장수 비밀 북극의 차가운 바다에는 무려 200년 이상을 살아가는 거대한 생명체, 보우헤드고래(Bowhead Whale)가 있습니다. 체중은 80,000kg을 넘고, 인간보다 2배 이상 오래 사는 이 고래는 어떻게 늙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보우헤드고래의 장수 비결은 놀라운 DNA 복구 능력에 있다고 합니다. 이는 인간의 수명과 암 예방 연구에도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발견입니다. 최근 나온 뉴스기사를 정리해 알려드리겠습니다.세포가 늙지 않는 이유 – 탁월한 DNA 복구 능력 미국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대의 얀 페이크(Jan Vijg) 교수 연구팀은 보우헤드고래와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비교했습니다. 보우헤드고래의 세포는 DNA가 손상되더라도 복구하는 능.. 2025. 10. 30.
세렝게티, 케냐와 탄자니아가 품은 끝없는 평원 끝없는 풀밭 위로 누떼의 행렬이 천천히 이동합니다. 어디선가 사자의 포효가 들리고 기린이 고개를 들고 어딘가를 쳐다봅니다. 이곳은 세렝게티 초원. 스와힐리어로 ‘끝없는 평원’을 뜻합니다. 세렝게티는 탄자니아 북부에서 케냐 남부까지 이어지는 초원지대로 지구에서 가장 역동적인 곳 중 하나입니다.세렝게티의 위치와 여행 정보 세렝게티는 아프리카 동부,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해 있습니다. 북쪽으로는 국경을 넘어 케냐의 마사이마라 보호구역과 맞닿아 있죠. 이 두 지역은 국경만 다를 뿐 사실상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넓이는 약 30,000 km2로 한반도 면적의 3분의 1의 크기입니다. 가장 가까운 주요 도시는 탄자니아의 아루샤(Arusha)로, 이곳.. 2025. 10. 30.
고양이는 왜 높은 곳을 좋아할까 (서열, 본능, 안정감) 고양이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책장 꼭대기, 냉장고 윗쪽 심지어 문 위에도 올라가 세상을 내려다보는 고양이를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거에요. 많은 사람들은 고양이들은 높은 곳은 좋아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여러 고양이들 있을때 높은 곳에 있는 순서가 고양이들의 서열이라고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오늘은 이런 고양이의 습성 이야기를 들여다보려 합니다.서열이 보다는 ‘본능의 흔적’ 고양이는 원래 야생에서 단독 생활을 한다고 합니다. 무리를 이루는 개와 달리 스스로 생존을 책임지죠. 야생 고양이의 조상은 사바나나 산림지대의 포식자이며 동시에 피식자였습니다. 그러다보니 높은 곳에서 주변을 관찰하는 습성을 발전시켰습니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사냥감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또한, 위험이 닥쳐도 미리 대비할.. 2025. 10. 30.
세렝게티의 흡혈 파리, 어떻게 피해야 할까 (체체파리, 물림, 예방법) 저는 올해 가을 아프리카 초원 여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초원이 낯선 한국인들이 여행을 하게된다면, 주의해야 할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흡혈파리, 특히 체체파리입니다. 이 파리는 세렝게티와 같은 초원 지대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단순히 귀찮은 파리를 넘어 때로는 심각한 질병을 옮기기도 합니다. 저 역시 세렝게티 초원 방문을 앞두고 흡혈파리에 관해 찾아봤는데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았습니다. 흡혈파리, 체체파리란? 체체파리는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흡혈성 파리입니다. 이름 그대로 사람과 동물의 피를 빨아 먹는 곤충입니다. 일반 파리보다 크고 회색빛이며 날개가 X자 형태로 겹쳐있습니다. 이 파리는 특히 세렝게티나 케냐 북부에 많이 서식합니다. 낮에 활발히 움직이며 그늘진 지역을 선호합니다. 체체파리가 위험한 이유는.. 2025. 10. 29.
고양이과 동물들, 비슷하면서 다른 포식자들 (사자, 호랑이, 치타, 표범, 퓨마, 스라소니) 사람들은 고양이과라고 하면 작은 고양이를 떠올리지만, 그 혈통을 따라가면 사자, 호랑이, 치타, 표범, 퓨마, 스라소니 등등 다양합니다. 크기와 서식지는 제각각이지만 놀랍도록 비슷한 신체 구조와 사냥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집고양이의 유연함, 날카로운 눈빛, 조용한 발걸음. 그 모든 것은 오랫동안 이어온 포식자의 흔적이죠. 오늘은 고양이과 동물 여섯 종을 중심으로 그들의 개성과 본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사자 – 무리로 움직이는 왕 사자는 고양이과 중 유일하게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입니다. 가족 단위 무리를 이루며 역할을 나눠 사냥하고 새끼를 돌봅니다. 암사자가 먹이를 사냥하고 수사자는 무리를 지킵니다. 사자의 포효는 8km 밖에서도 들릴 만큼 강력합니다. 이 포효는 영역을 알리고 경쟁자에게 경고합니다.. 2025. 10. 28.
여우는 인간과 가까운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여우의 성향, 반려동물, 거리) 강아지와 고양이는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친구로 함께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SNS를 통해 영상들에서는 여우를 반려동물처럼 키우는 영상들이 가끔 보입니다. 여우짓 한다라는 말이 있을만큼 여우는 헤어나올 수 없는 매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애완 동물로서의 여우도 주인에게 충성을 다할까요? 또한, 실제로 여우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게 가능한 걸까요? 여우는 개과 동물이지만, 다른 성격을 가졌어요. 여우는 생물학적으로 개과에 속합니다. 즉, 유전적으로는 늑대나 개와 같은 뿌리를 공유합니다. 오랫동안 인간과 함께 생활한 개와 달리, 여우도 다른 동물처럼 야생의 본능이 남아 있습니다. 심지어 여우를 고양이의 몸에 개의 뼈대를 가진 동물이라고도 표현합니다. 그만큼 고양이와 개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여우.. 2025.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