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무너진 땅, 열린 바다: 싱크홀과 블루홀 이야기 지구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우리가 밟고 서 있던 땅이 무너져내리거나 깊은 바다 속이 거대한 구멍처럼 생기기도 하죠. 지상에서는 싱크홀, 바다에서는 블루홀이라 불립니다. 두 현상은 닮은 듯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싱크홀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대중들읨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오늘은 싱크홀과 블루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해보겠습니다.싱크홀 – 인간이 만든 땅의 공허 싱크홀은 지표면이 갑자기 꺼지며 생기는 땅의 구멍입니다. 지하의 석회암층이 물에 녹거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생긴 빈 공간이 붕괴하면서 발생합니다. 자연적으로도 일어나긴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시 개발과 지하 공사 그리고 지하수 남용 등의 문제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우리들이 도심 생활을 위해 진행한 활동이 그 원인을 크게.. 2025. 10. 27.
가재가 노래하는 곳 (책 리뷰) – 자연이 품은 고독과 치유 제가 정말로 좋아하는 책을 하나 소개시켜드리려 합니다. 가재가 노래하는 곳 (Where the Crawdads Sing) 이 소설은 동물학 박사 출신 작가 델리아 오언스 (Delia Owens)가 쓴 작품입니다. 그녀의 첫 소설임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재밌습니다. 수년간 베스트셀러로 사랑받았고 영화로도 만들어졌죠. 주인공 카야는 외로움 속에서 자라며 힘들때마다 늪지대 자연 속에서 다양한 생명들과 교감하면서 자신의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늪지대에서 자란 소녀, 카야 책의 배경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광활한 늪지대입니다. 사람들이 외면한 땅이고 진흙, 갈대, 습지와 새들이 가득한 그곳에서 카야는 어린 나이에 가족에게 버려집니다. 카야의 유년 시절은 고독 그 자체입니다. 학교도 못 다니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2025. 10. 27.
식물과 함께 찾아온 불청객, 실내 벌레 퇴치 (실내 식물, 벌레, 퇴치법) 요즘 집 안에서 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저 역시 집안이 초록빛 식물들로 채워졌네요. 하지만 식물과 함께 자라는 건 초록빛 뿐만이 아닙니다. 물을 주기 위해 화분으로 다가가면 작은 벌레들이 살짝살짝 움직이는 걸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처음엔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이거를 그냥 놔둬도 되나 싶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울 때 생기는 대표적인 벌레들의 정체와 이를 퇴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작은 흙벌레 – 과습과 유기물에서 자란다 실내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벌레는 버섯파리, 응애 그리고 흙벌레입니다. 버섯파리는 흙 속의 습기와 부패한 식물성 물질을 먹고 삽니다. 따라서 물 주기가 너무 잦거나 배수가 잘되지 않는 흙이 이들의 서식지가 됩니다. 응애류는 잎 뒷면에 하얀 점처럼 붙어.. 2025. 10. 26.
공포가 서린 호랑이의 울음 소리 (저주파, 공포의 진동) 호랑이나 사자의 울음소리를 TV에서라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호랑이의 포효는 단순히 큰 게 아니라 몸속을 울립니다. 이는 땅이 진동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호랑이의 울음은 저주파입니다. 사람의 몸에도 진동으로 전해질 정도라고 합니다. 그 후로 '으르렁'이라는 단어 속에도 호랑이와 같은 포식자들이 가꿔온 생존 기술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호랑이의 울음, 단순한 소리가 아니다! 호랑이의 울음은 단순한 소리가 아닙니다. 진동과 공명의 파동입니다. 호랑이와 사자 같은 대형 고양잇과 동물은 일반적으로 2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의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청력으로는 완전히 들리지 않지만 우리 몸은 그 진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저주파는 공기를 울리고, 땅을 흔듭니다. 이 소리를 듣는 사냥.. 2025. 10. 26.
치타와 우사인 볼트, 그들의 심장이 달릴 때 (속도, 심박수, 한계) 치타가 달릴 때의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저희 대부분은 영상으로 접했을 가능성이 높겠으나 화면속에서도 살아 있는 치타가 총알처럼 움직이는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신기하게도 그 짧은 몇초 동안 치타의 심장은 미친 듯이 뛰고, 근육은 폭발적으로 수축합니다. 반면, 우사인 볼트 역시 100m를 9초대에 주파하며 치타에 가장 가까운 인간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우사인 볼트의 심장 박동은 치타와는 확연하게 다른 경향을 보입니다.치타의 심장은 폭발 직전까지 뜁니다 치타는 달리기 위해 태어난 동물입니다. 평소에는 분당 120회 정도의 심박수를 보이지만, 달려나가는 순간부터 심박수는 250회 이상으로 폭발합나다. 단 20초 이내에 치타의 체온은 40도 가까이 올라갑니다. 이렇게 바람과 같은 치타는 시속 110km가 .. 2025. 10. 25.
단풍! 우리 눈이 가을을 느끼는 순간 (색의 변화, 일상의 소중함) 우리나라는 가을이 되면 나무들이 알록달록한 색옷을 입습니다. 붉고 노랗게 번지는 그 모습은 언제 봐도 색다릅니다. 예전에 한국에 수년정도 살던 외국인에게 “한국에서 가장 좋은 게 뭐냐”고 여쭌적이 있습니다. 인터넷이나 치안 같은 답변대신 단풍이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그 한마디가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당연했던 풍경이 누군가에겐 가장 인상적인 장면일 수 있더라구요.단풍은 나무의 마지막 준비 단풍은 단순하게 잎의 색이 변하는 게 아닙니다. 이는 나무가 겨울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잎 내부의 엽록소 때문에 푸른색을 보입니다. 엽록소는 햇빛을 받아 에너지를 만들죠. 하지만 가을이 되면 낮은 짧아지고 온도도 떨어집니다. 나무는 이쯤부터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엽록소 생산을 멈춥니다. 엽록소가.. 2025.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