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고양이과 동물들, 비슷하면서 다른 포식자들 (사자, 호랑이, 치타, 표범, 퓨마, 스라소니) 사람들은 고양이과라고 하면 작은 고양이를 떠올리지만, 그 혈통을 따라가면 사자, 호랑이, 치타, 표범, 퓨마, 스라소니 등등 다양합니다. 크기와 서식지는 제각각이지만 놀랍도록 비슷한 신체 구조와 사냥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집고양이의 유연함, 날카로운 눈빛, 조용한 발걸음. 그 모든 것은 오랫동안 이어온 포식자의 흔적이죠. 오늘은 고양이과 동물 여섯 종을 중심으로 그들의 개성과 본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사자 – 무리로 움직이는 왕 사자는 고양이과 중 유일하게 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입니다. 가족 단위 무리를 이루며 역할을 나눠 사냥하고 새끼를 돌봅니다. 암사자가 먹이를 사냥하고 수사자는 무리를 지킵니다. 사자의 포효는 8km 밖에서도 들릴 만큼 강력합니다. 이 포효는 영역을 알리고 경쟁자에게 경고합니다.. 2025. 10. 28.
여우는 인간과 가까운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여우의 성향, 반려동물, 거리) 강아지와 고양이는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의 친구로 함께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SNS를 통해 영상들에서는 여우를 반려동물처럼 키우는 영상들이 가끔 보입니다. 여우짓 한다라는 말이 있을만큼 여우는 헤어나올 수 없는 매력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애완 동물로서의 여우도 주인에게 충성을 다할까요? 또한, 실제로 여우를 애완동물로 키우는 게 가능한 걸까요? 여우는 개과 동물이지만, 다른 성격을 가졌어요. 여우는 생물학적으로 개과에 속합니다. 즉, 유전적으로는 늑대나 개와 같은 뿌리를 공유합니다. 오랫동안 인간과 함께 생활한 개와 달리, 여우도 다른 동물처럼 야생의 본능이 남아 있습니다. 심지어 여우를 고양이의 몸에 개의 뼈대를 가진 동물이라고도 표현합니다. 그만큼 고양이와 개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여우.. 2025. 10. 28.
무너진 땅, 열린 바다: 싱크홀과 블루홀 이야기 지구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우리가 밟고 서 있던 땅이 무너져내리거나 깊은 바다 속이 거대한 구멍처럼 생기기도 하죠. 지상에서는 싱크홀, 바다에서는 블루홀이라 불립니다. 두 현상은 닮은 듯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싱크홀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대중들읨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오늘은 싱크홀과 블루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해보겠습니다.싱크홀 – 인간이 만든 땅의 공허 싱크홀은 지표면이 갑자기 꺼지며 생기는 땅의 구멍입니다. 지하의 석회암층이 물에 녹거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생긴 빈 공간이 붕괴하면서 발생합니다. 자연적으로도 일어나긴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시 개발과 지하 공사 그리고 지하수 남용 등의 문제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우리들이 도심 생활을 위해 진행한 활동이 그 원인을 크게.. 2025. 10. 27.
가재가 노래하는 곳 (책 리뷰) – 자연이 품은 고독과 치유 제가 정말로 좋아하는 책을 하나 소개시켜드리려 합니다. 가재가 노래하는 곳 (Where the Crawdads Sing) 이 소설은 동물학 박사 출신 작가 델리아 오언스 (Delia Owens)가 쓴 작품입니다. 그녀의 첫 소설임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재밌습니다. 수년간 베스트셀러로 사랑받았고 영화로도 만들어졌죠. 주인공 카야는 외로움 속에서 자라며 힘들때마다 늪지대 자연 속에서 다양한 생명들과 교감하면서 자신의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늪지대에서 자란 소녀, 카야 책의 배경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의 광활한 늪지대입니다. 사람들이 외면한 땅이고 진흙, 갈대, 습지와 새들이 가득한 그곳에서 카야는 어린 나이에 가족에게 버려집니다. 카야의 유년 시절은 고독 그 자체입니다. 학교도 못 다니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도.. 2025. 10. 27.
식물과 함께 찾아온 불청객, 실내 벌레 퇴치 (실내 식물, 벌레, 퇴치법) 요즘 집 안에서 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저 역시 집안이 초록빛 식물들로 채워졌네요. 하지만 식물과 함께 자라는 건 초록빛 뿐만이 아닙니다. 물을 주기 위해 화분으로 다가가면 작은 벌레들이 살짝살짝 움직이는 걸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처음엔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이거를 그냥 놔둬도 되나 싶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울 때 생기는 대표적인 벌레들의 정체와 이를 퇴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작은 흙벌레 – 과습과 유기물에서 자란다 실내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벌레는 버섯파리, 응애 그리고 흙벌레입니다. 버섯파리는 흙 속의 습기와 부패한 식물성 물질을 먹고 삽니다. 따라서 물 주기가 너무 잦거나 배수가 잘되지 않는 흙이 이들의 서식지가 됩니다. 응애류는 잎 뒷면에 하얀 점처럼 붙어.. 2025. 10. 26.
공포가 서린 호랑이의 울음 소리 (저주파, 공포의 진동) 호랑이나 사자의 울음소리를 TV에서라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호랑이의 포효는 단순히 큰 게 아니라 몸속을 울립니다. 이는 땅이 진동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호랑이의 울음은 저주파입니다. 사람의 몸에도 진동으로 전해질 정도라고 합니다. 그 후로 '으르렁'이라는 단어 속에도 호랑이와 같은 포식자들이 가꿔온 생존 기술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호랑이의 울음, 단순한 소리가 아니다! 호랑이의 울음은 단순한 소리가 아닙니다. 진동과 공명의 파동입니다. 호랑이와 사자 같은 대형 고양잇과 동물은 일반적으로 2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의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청력으로는 완전히 들리지 않지만 우리 몸은 그 진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저주파는 공기를 울리고, 땅을 흔듭니다. 이 소리를 듣는 사냥.. 2025. 10. 26.